본문 바로가기

질병 정보

역류성 식도염 원인과 증상, 예방 방법 정리

728x90
반응형

주변에서 흔히 보는 질환이 역류성 식도염이다. 오늘은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과 증상, 예방법을 정리해 보겠다.

 

원인과 증상 

정상적인 경우 위식도 경계 부위가 닫혀 있어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는다. 하지만 조절 기능의 약화로 경계 부위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으면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으로써 이에 따른 불편감이 나타난다

증상으로는 가슴 쓰림,가슴의 답답함, 속 쓰림,신트림, 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 목 쓰림, 목소리 변화, 가슴통증 등이 있다. 대개 만성적인 경과를 밟으며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수십 년 이상 식도염이 지속되는 경우 식도암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진단/검사

위내시경 검사로 진단하며 위내시경 검사에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식도로의 위산 역류 여부를 검사하는 식도 산도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식도 산도 검사는 식도 하부에 산도 여부를 측정하는 작은 기계를 삽입하여 24시간 동안 식도 내의 산도를 검사함으로써 위산 역류 여부를 진단한다. 전체 위식도 역류 질환의 50% 정도가 내시경에서 식도염이 관찰된다.

 

예방방법

  • 역류성 식도염의 위험인자에는 비만, 흡연, 음주 등이 있으며 이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것들을 피한다. 
  • 기름진 음식, 카페인 음료, 탄산음료 등은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한다.
  • 야식 등 늦은 식사는 역류성 식도염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미국 소화기학회(ACG)는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게 식사 후 3시간 이내에 잠을 자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
  •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게 야식만큼 좋지 않은 것이 과식이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은 위의 팽창으로 인해 발생하기에 보통 식사 후 3시간 이내에 나타난다. 즉,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있다면, 한 번에 많은 양의 식사는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
  • 눕는 자세만 바꿔도 역류성 식도염 악화를 막을 수 있다. 역류성 식도염 환자는 잠을 잘 때 상체를 높이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삼각형 쐐기모양의 넓은 베개를 사용하거나, 매트리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침대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면 시 상체를 높게 유지하면 위산 역류를 줄일 수 있다.
  • 누울 때도 왼쪽으로 눕는 게 좋다. 왼쪽으로 누우면, 오른쪽 또는 똑바로 눕는 것보다 위산 역류가 감소한다.

 

참고자료=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학술위원회 위식도 역류질환 연구회 '위식도 역류질환과 음식'

[네이버 지식백과] 역류성 식도염 [reflux esophag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