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정보

설암의 증상과 원인, 예방법을 알아 보자

728x90
반응형

'미스트롯' 출신 가수 정미애가 설암 3기로 혀의 1/3을 절제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들려왔다. 혀는 맛을 느끼게 하는 기관이며 발음기관으로 그 중요성이 무척 크다. 구강암 중 혀에 생기는 설암의 증상과 원인,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설암의 증상

설암은 혀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남성에서 호발하고 50~60대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50% 정도가 혀의 중간 1/3 부위의 측면에 발생한다고 한다.


1) 3주 이상이 지나도 낫지 않는 입 안의 궤양

  • 입 안의 궤양이란 입 안 점막이 헐거나 파인 것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원인은 아프타 구내염과 같은 염증 때문이다. 이러한 구내염 때문에 한 군데에 생긴 궤양은 대개 1~2주 내로 없어지지만 심한 경우에는 다른 부위에 또 옮겨가기도 한다. 그러나 한 군데에 생긴 궤양이 3주가 되었는데도 아물지 않는다면 일반적 염증이 아닐 수 있으므로 병원을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2) 입 안에 생긴 종괴 혹은 부종(붓기)이 3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입 안에서 평소에 없던 것이 만져지는 경우, 단순한 염증이거나 또는 염증 때문에 생긴 단순한 물혹일 수 있다. 그러나 본인이 생각하기에 뭔가 이상해 보이는데 원래부터 있던 것인지 아니면 새로 생긴 것인지 헛갈릴 때는 일단 좌우를 비교해 보라. 대칭적으로 보인다면 대개 정상일 가능성이 많으며, 비대칭이거나 의심스러운 점이 있으면 가까운 의원에서 진찰을 받는 것도 좋다. 또한 붓기가 생겨 3주가 지나도 없어지지 않는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

3) 목에 만져지는 혹(경부 종괴)이 3주가 지나도 사라지지 않은 경우

  • 목에 없던 것이 새로 만져진다고 해서 그것이 곧 구강암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감기만 걸려도 임파선이 부어 혹처럼 만져질 수 있는데, 일반적 염증에 의한 것이라면 대개 3주 이내에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3주가 지나도 남아 있거나 오히려 혹이 더 커진 것으로 느껴지면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4) 구강 점막의 적색 혹은 백색 반점

  • 볼이나 혀에 적색 혹은 백색 반점이 생긴 경우에도 대부분은 원인을 잘 모르거나, 만성 자극에 의하여 점막에 변화가 생겨 발생한 일시적인 증상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점막의 변화는 드물게 암의 초기 증상이거나 암으로 변하는 전단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전에 진단받은 적이 없는 경우라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고, 오래된 반점인 경우 최근에 더 두꺼워지거나 헐거나, 범위가 넓어지는 경우에는 조직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5) 치주질환과 무관한 원인 미상의 치아 흔들림

  • 잇몸에 생긴 암이 치아의 뿌리 쪽으로 자라서 들어가면 치주질환이 없어도 치아가 흔들리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치아가 흔들리는 증상 외에도 이를 빼고 2주 이상 아물지 않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그 외에 혀나 볼 점막의 통증, 불쾌한 입 냄새(구취) 등을 동반할 수 있다.

 

설암의 원인과 예방법

설암의 원인

  • 설암의 위험인자로는 흡연의 영향이 절대적이며 이외에 음주, 바이러스, 방사선이나 자외선, 식습관과 영양 결핍, 유전적 감수성 등이 거론되고 있다. 

설암의 예방법

  • 금연을 하고 과음을 하지 않는다.
  • 항상 구강을 청결히 한다.
  • 자극적인 음식물 즉 너무 뜨겁고, 짜고, 매운 음식, 검게 탄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 날카로운 치아, 잘 맞지 않는 틀니 등이 구강 점막을 만성적으로 자극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모든 구강병은 초기에 치료받고 만성적 염증상태가 없도록 하며 점막이 헐어서 10일 이상 지속되는 궤양 등은 초기에 치과를 방문하여 진단받아야 한다.
  • 구강 백반증 같은 구강 내 백색 병소 및 홍반증 등 전암 병소가 나타날 때에는 즉시 치료받는다.
  • 1년에 한 번씩, 특히 장년 이후에는 정기 구강검사를 받도록 한다.

구강암은 발생하는 부위가 눈에 잘 뜨이고 잘 만져지기 때문에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다른 암에 비해 쉽게 조기 발견할 수 있다. 암이 원격 장기나 주변 조직으로의 침습이 없이 원발부위에 국한되어 있을 때 발견해 낸다면 치료 효과가 높으므로 우리 몸의 변화를 민감하게 느끼고 이상이 있으면 바로 검진을 받도록 하자.

 

[네이버 지식백과] 설암 [tongue cancer]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참고

 

 

728x90
반응형